본문 바로가기

렁그리 이모저모

네일의 역사와 고대~현대의 흐름








네일아트


▶손톱이나 발톱을 미적으로 표현하는 것

단순하게 매니큐어를 바르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인 표정을 손톱에 살린 것으로서, 긴 손톱에 그림을 그리거나 비즈나 보석을 붙이기도 한다.


네일미용이란 네일 기초 관리, 굳은살 제거, 마사지, 컬러링, 인조 네일 시술 등 손톱과 발톱에 관한 관리의 모든 것을 말한다.

매니큐어란 라틴어 마누스(손)와 큐라(관리)라는 단어를 결합한 말로써 손에 관한 전체적인 관리를 의미한다.

패디큐어란 라틴어 페디스(발)와 큐라(관리)라는 말에서 유래된 말로 발톱과 발을 건강하게 아름답게 가꾸는 발 관리를 의마한다.

네일미용의 목적은 네일을 관리하여 건강한 네일을 유지하고 아름답게 꾸며 미적 욕구를 충족하는 데에 있다.


한국의 네일미용은 1980년대 이후부터 네일 산업이 하나의 업종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 1992년: 우리나라 최초의 네일아트 숍인 그리피스가 이태원에 오픈
• 1996년: 압구정 백화점에 네일 코너가 입점되어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
• 1997년: 인기스타들이 네일미용을 하면서 네일미용의 대중화가 시작되었으며, 여러 개의 재료 납품 업체가 등장
• 1998년: 민간 자격시험제도가 도입되고 시행
• 2002년: 네일 산업의 호황기
• 2004년: 경기 침체로 인한 네일산업의 구조조정기










서양의 네일미용


이집트
파라오 무덤에서 금으로 만든 매니큐어 세트가 발견되었고 미라의 손톱에 빨간색(주적, 건강의 의미)을 입히거나 태양신에 바치는 제사에도 사용하였다.
헤나를 사용하여 오렌지색, 붉은색으로 손톱의 색을 입혔는데, 신분별 차이를 두어 상류층은 짙은 색, 하류층은 옅은 색만을 허용하였다.



중세 시대
영국에서는 식사 전에 장미수로 손을 씻었으며 이탈리아는 섬세하고 긴 손톱이 아름다운 여성의 기준이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손톱의 색상이 붉은색이고 손과 손가락이 희고 긴 것이 미의 기준에 해당했다. 프랑스의 왕비였던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장갑을 착용하였다.



바로크 시대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한쪽 손의 손톱을 길러 문을 긁도록 하였다. 이는 노크가 예의에 어긋난 행위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로코코 시대
네일 제품이 개발되어 대중화가 된 시기이다.



근대

• 1800년: 아몬드형 네일 모양이 유행하였으며 향이 있는 붉은색 기름을 바르고 샤모아(chamois, 염소나 양의 부드러운 가죽)로 광택을 냄
• 1830년: 발 전문의인 사인 시트(Sits)에 의해 오렌지 우드스틱이 고안
• 1880년: 네일 관리가 대중화 되었으며 첨탑 모양이 유행
• 1892년: 발 전문의인 사인 시트(Sits)의 조카에 의해 네일 아티스트가 새로운 직업으로 미국에 도입




현대

• 1900년: 메탈 파일이나 메탈 가위가 이용되었으며, 에나멜을 도포할 때에는 낙타털로 만든 붓을 사용하였고, 광택을 내기 위하여 크림이나 가루를 사용함
• 1910년: 미국의 매니큐어 제조회사 플라워리(Flowery)가 설립되어 금속 파일과 사포로 된 파일이 제작
• 1917년: 보그 잡지에 Dr.코로니(Coroni)의 네일 홈케어 제품이 소개되어 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관리가 가능해 짐
• 1919년: 최초의 특허제품인 연분홍색의 에나멜이 제조됨
• 1925년: 네일 에나멜의 산업이 본격화되면서 일반 상점에서 에나멜 구입이 가능해졌으며, 달 매니큐어(moon manicure)가 유행함
• 1927년: 큐티클 크림, 큐티클 리무버, 프렌치 매니큐어 전용 흰색 에나멜이 제조
• 1930년: 제나(Gena) 연구팀에서 큐티클 오일, 에나멜 리무버, 워머 로션 등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계통의 붉은색 에나멜이 등장
• 1932년: 레블론(Revlon)사에서 최초로 립스틱과 잘 어울리는 색상의 네일 에나멜을 출시
• 1935년: 인조 네일이 개발
• 1940년: 리타 헤이워스(Rita Heyworth)에 의해 풀코트 기법 및 빨간색 네일이 유행하였으며 이발소에서 남성들이 기본적인 손톱관리를 받기 시작
• 1948년: 노린 레호(Noreen Reho)가 매니큐어 시 기구를 사용하기 시작
• 1956년: 헬렌 걸리(Helen Gouley)에 의해 미용학교 교육과정에 네일이 포함됨. 또한 네일 팁의 사용이 증가함
• 1957년: 호일을 사용한 아크릴릭 네일이 최초 시행되었으며 페디큐어가 등장
• 1960년: 실크나 린넨을 이용하여 손톱을 보강
• 1967년: 손과 발에 트리트먼트를 시작
• 1970년: 네일팁과 아크릴릭 네일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고 치과에서 사용하는 재료에서 현재 사용 중인 아크릴릭 네일 제품이 개발
• 1973년: 네일 회사(IBD)가 처음으로 네일 접착제와 접착식 인조손톱을 개발
• 1975년: 미국 식약청(FDA)이 메틸메타아크릴릭레이트(MMA)를 사용 금지함
• 1976년: 스퀘어 모양의 네일이 유행하였으며 동시에 화이버 랩이 등장. 미국에 네일아트가 정착
• 1981년: 에씨, 오피아이, 스타 등의 회사에서 네일전문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네일 액세서리가 등장
• 1982년: 태미 테일러(Tammy Taylor)에 의해 파우더, 프라이머, 리퀴드 등의 아크릴릭 네일 제품을 개발
• 1989년: 세계경쟁성장과 더불어 네일산업의 급성장기
• 1992년: 인기스타들에 의해 대중화가 된 시기로 NIA(the Nail Industry Associaion)이 창립되어 네일산업이 더욱 본격화되면서 정착
• 1994년: 독일에서 라이트 큐어드 젤 시스템(light cured gel system)이 등장하였으며 뉴욕 주에서는 네일 테크니션 면허제도를 도입
• 2000년대 이후: 2D, 3D 등 입체 디자인, 핸드페인팅, 에어브러시 등 다양한 아트 기법이 등장










동양의 네일미용


고대
중국에서 조홍이라 하여 홍화를 손톱에 바르기 시작하였다. 에나멜로 알려진 최초의 페인트를 달걀흰자(난백)와 아라비아산 고무나무 수액, 벌꿀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 사용했으며, 특히 BC 600년경 귀족들은 금색과 은색을 사용하였다.


15세기
명왕조 때 상류층의 귀족들은 신분 과시를 위해 흑색과 적색을 사용하였다.


17세기
중국의 상류층은 역사상 가장 긴 손톱을 사용하였다. 남녀 모두 5인치 정도 걸렀으며 보석이나 대나무 등으로 장식하여 손톱을 보호하였는데 이는 부의 상징의 표시였다. 인도에서는 신분 표시를 위해 문신 바늘을 사용하여 네일 매트릭스(조모)에 색소를 주입하였다.








국내 및 국외 네일산업 현황


구분
미국
일본
한국
도입기
1950년대 초반
1980년대 중반
1996년 중반
활성화 시기
1970년대 이후
1993년 이후
2002년 이후
형태
네일숍 형태로 전문화된 네일숍 및 발 관리 숍 병행

소형 점포 형태의 다양성 추구
∙ 전문 네일숍
∙ 백화점 내 네일숍
∙ 미용실 내 숍

개인 숍과 변형된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
∙ 백화점 내 네일숍
∙ 미용실 내 숍
시장 현황
∙ 필수 뷰티 아이템으로 대중화·생활화
∙ 1990년대 중반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빠른 속도로 네일 문화 확산

∙ 연예인 중심의 홍보로 대중화를 모색→네일 시장이 차츰 형성됨
∙ 2000년 이후 고급 전문숍 및 개인이 운영하는 소규모 네일숍 등 다양하게 확장
주요 고객
∙ 안정적인 소득에 기초한 폭넓은 고객층 확보
∙ 고소득층 위주의 고객층 형성을 시작으로 1995년 이후 신세대까지 큰 관심을 갖게 되어 네일 문화의 사회적 가치 인정 획득
∙ 고소득층 위주의 고객에서 전문 직종에 종사하는 고객층까지 확대되어가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