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재난지원금으로 받으실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이렇게 돈 관련되어서 도둑심보들이 너무
많은게 문제입니다.
지금은 긴급재난지원금을 관련하여 스미싱 문자를
보내여 돈을 갈취하는 아주
못된 방법이 성행하고 있는데요.
이 지원금은 받는 분들은 대부분 수입이 크게 많지않고
코로나19로 인하여 다른 분들보다 더 힘들고 어려우신분들
인데 이렇게 그 돈을 갈취하는 스미싱 집단들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런 형식에 갈취는 사기이며 국번없이 118번으로
신고가능합니다.
이런 대상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대하기 어려운분들
가장 포커스가 맞춰서 뿌려지고있습니다.
재난지원금 갈취 스미싱
코로나19 여파로 정부와 지자체에서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 중이거나 지급 예정인 가운데 개인정보를 빼내기 위한 ‘스미싱’ (smishing)이 활개를 치고 있어 도민 개개인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수신자가 링크에 접속하도록 한 뒤 악성코드를 설치해 해당 스마트폰에서 개인 정보를 훔쳐가는 수법이다. 수신자 몰래 기기 정보, 연락처, 통화 기록, 설치 앱 목록, 위치 정보 등을 탈취한다.
스미싱은 종전에는 특정 기관이나 지인을 사칭하는 수법으로 유포를 하다 최근 들어 마스크, 코로나19, n번방 등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는 문자로 클릭토록 유도하고 있다.
보안업체에 따르면 공격자는 ‘[긴급재난자금] 상품권이 도착했습니다. 확인해주세요’라는 내용의 스미싱 문자를 퍼트린다. 문자에는 ‘https://bit.ly’로 시작하는 인터넷 주소(URL)가 담겼다. 해당 링크를 누르면 악성 앱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은 바이러스에 감염돼 정보가 노출된다.
경남도는 이달부터 지급되는 ‘경남형 재난지원금’은 온라인 신청을 받지 않으며, 직접 대상자를 선별해 우편으로 신청서를 발송하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또 앞으로 안내 문자를 발송하더라도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하지 않는다며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경우 스미싱 문자로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미싱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먼저 개인의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스미싱 공격자들은 관심 있는 정치·사회적 문제 등을 교묘히 이용해 수신자가 클릭하도록 유혹한다. 전문가들은 신뢰할 수 있는 모바일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에는 접근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모르는 사람이 보낸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고 출처가 불분명한 모바일 앱은 설치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내달부터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된다. 스미싱이 더 많이 유포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스미싱의 경우 개인의 경각심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만큼 지급 전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과 홍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렁그리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가족돌봄휴가 지원금제도 신청서 기간, 지원비용 혜택, 유급 대상 방법정리!! (0) | 2020.04.17 |
---|---|
코로나19 사업자(자영업자) 소상공인 지원금 대출 정리!! (0) | 2020.04.13 |
[제101주년 4월 11일]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정리! (0) | 2020.04.11 |
2020년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일정 접수방법, 취득방법, 기출문제 정리 (0) | 2020.04.10 |
21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 방법, 장소 (0) | 2020.04.09 |